항생제 사용량 조사 방법
- 항생제 사용량 데이터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고 있다.
- 통계의 산출방식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연보를 따르고 있다.
- 현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항생제 사용량 정보에서 계열별/의료기관별 항생제 사용량은 비급여 항균물질 소비량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 단위 DID는 하루 1천명당 의약품 사용량(Daily doses per 1,000 inhabitants per day)이며, 의료기관별 사용량의 경우에만 환자 1천명당 의약품 사용량(Daily doses per 1,000 patients per day)을 사용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률 조사 체계
내성균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서 국내 항생제 내성 현황을 파악하고 그 변화를 감시하는 것은 항생제 내성 극복의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질병관리청는 대상 기관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감시 체계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Kor-GLASS는 종합병원 및 요양병원, KARMS는 중소병원/요양병원, KONIS는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을 주 감시대상으로 하고 있다.
세가지 감시체계는 대상 병원뿐 아니라 대상 균종, 대상 검체, 감수성 시험법도 서로 다르다. 또한 Kor-GLASS의 경우 한 환자에서 중복되어 분리되는 반복 균주를 제거한 내성률을 제공하지만, KARMS의 경우 기초자료 수집방법의 제한으로 반복 균주를 제거하기 힘드므로, 제공되는 내성률이 실제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들 감시체계에서 나온 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잘못된 오해를 만들 수 있으며 권장되지 않는다.
감시현황 > 질병관리청 차례대로 감시체계, Kor-GLASS, KARMS, KONIS 순으로 순서대로 대상 기관, 대상 균종, 대상 검체, 감수성 시험 기관, 시험법, 내성율 산출 방법, 균주 수집 데이터가 표시됩니다. 감시체계 | Kor-GLASS | KARMS | KONIS |
대상 기관 | 종합병원/요양병원 | 중소병원/요양병원 | 종합병원 (중환자실) |
대상 균종 | S. aureus E. faecalis E. faecium S. pneumonia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Salmonella spp. Shigella spp. N. gonorrhoeae C. difficile Candida spp. Haemophilus spp. N. meningitidis | S. aureus E. faecalis E. faecium S. pneumonia E. coli K. pneumoniae E. cloacae P. aeruginosa A. baumannii Non-typhoidal Salmonella Salmonella Typhi Shigella spp. Campyolobacter jejuni VRSA N. gonorrhoeae | S. aureus E. faecalis E. faecium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 A. baumannii |
대상 검체 | Blood (혈액) Urine (뇨) Stool (대변) Genital (비뇨생식 검체) CSF (뇌척수액) Lower respiratory specimen (호흡기) | Blood (혈액) Urine (뇨) Stool (대변) Genital (비뇨생식 검체) 등 모든 검체 | Blood (혈액) Biopsy (생검조직) Pleural effusion (흉수) |
감수성 시험 기관 | 균종별 특성분석센터 | 각 수집기관 | 각 수집기관 |
시험법 | 디스크 확산법 한천희석법 미량액체배지희석법 | 미생물 자동화 장비 | 미생물 자동화 장비 |
내성률 산출 방법 | 비반복균주의 직접 분석을 통한 내성률 산출 | 감시기관에서 보고하는 내성률의 산술적 평균. 반복균주가 제거되지 않음 | 비감수성 균주수 / 총 균주수 |
균주 수집 | 비반복 전수 수집 | 균주 미수집 | 균주 미수집 |
Kor-GLASS
소개
- 2016년부터 WHO GLASS와 연계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보완/개선한 국내 항균제 내성균 조사사업
- 전국 10개 권역(종합병원 및 요양병원)에서 대상 병원체 15종을 전수 수집하여 표준화된 방법으로 결과 산출
- 독립된 항생제감수성시험관리센터의 정기적인 결과 검증을 통해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
- 시험관리가 완료된 수집 균주의 임상, 항생제감수성시험 결과 및 균주 확보
- 매년 산출된 항생제 내성 결과는 국가 데이터로 WHO GLASS와 공유
종합병원 및 요양병원 다제내성균 조사사업의 진행과정
운영위원회
수집기관
종합병원/요양병원 균주 수집기관 (8개 권역) 에서 분석센터로 수집균주 및 임상정보 전달 시험관리센터
시험관리 후 시험관리 정보를 분석센터에 전달 분석센터
수집기관, 시험관리센터에서 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임상 정보, 내성 정보, 수집균주 특성결과를 질병관리 본부에 전달 질병관리청
종합병원 수집균주 정보를 WHO(GLASS)에 전달
데이터 구성
- 분리 병원체 : 10개 권역 종합병원 대상, 전수 대상, 중복 제외
- 검체 : 병원체별 GLASS 권장 검체(Blood, Urine, Stool, Urethral and cervical swabs, CSF, Lower respiratory specimen)
- 동정 : MALDI-TOF, Microscan
- 항생제 감수성시험법 : 표준화된 방법(디스크확산법, 액체배지미량희석법)
- 판정기준 : CLSI guide 및 EUCAST 기준에 따라 R/I/S로 판정, 판정 결과에 따라 내성률 산출
KARMS
소개
- 2002년부터 전국 병원에서 수집된 병원체의 내성정보를 분석한 항균제 내성균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 1년 단위로 수집한 병원체의 정보 및 병원별 자동화장비 분석 방법으로 항생제감수성시험 결과 분석
- 다양한 검체에서 분리된 주요 법정감염병, 지정감염병 등 주요원인균 대상으로 수집
- 의료기관(5개 임상 검사센터와 상호 연결) : 시료 재취 역학정보수집 항균제처방
- 5개 임상 검사 센터(의료기관과 상호 연결)
항균제 내성검사
검체수거,검체 접수, 내성균 분리 동정, - 항균제 감수성검사, - 정도관리, 결과입력 항균제 내성정보 수집체계 구축
센터별 내성정보 수집, 메타데이터 표준화 작업(-데이터 크리닝, 중복데이터 제거), 내성자료 수집체계 확립, 결과보고 및 홍보
- 질병관리청 세균분석과(5개 임상 검사센터에 항생제 내성균 정보 결과 환류, 용역기관에 용역 발주, 행정 지원, 전산프로그램 제공)
- 용역기관(질병관리청에 결과보고서 제출, 표준화된 내성정보 제공)
데이터 구성
- 분리 병원체 : 전국 종합병원(’02~’16년), 중소병원, 의원 대상, 수집된 병원체만 대상, 중복 가능
- 검체 : 혈액, 뇨, 대변, 비뇨생식 검체 등 모든 검체
- 동정 : Vitek2, Microscan
- 항생제 감수성시험법 : Vitek2 ID, AST(Panel 6종)
- 판정기준 : CLSI guide 기준에 따라 R/I/S로 판정, 판정 결과에 따라 내성률 산출
KONIS
소개
- 의료관련 감염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됨에 따라 2006년부터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NIS) 운영 중
- 전국 의료기관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률을 통일된 방법과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 자료를 산출하여 국내 의료관련감염 추이파악
- 의료기관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운영
데이터 구성
- 감시대상 감염 : 혈행성 감염, 요로감염, 폐렴
- 감시항복 : 해당 의료관련감염 발생률 및 원인균 분포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