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ne Health 항생제 내성

One Health 정의

One Health는 새로운 용어인 만큼 포괄하는 범위도 다양하며, 세계의 다양한 기관에서 One Health에 대한 각자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One Health에 대한 기관별 정의가 기관, 정의 순으로 데이터가 표시됩니다.
기관 정의
세계보건기구(WHO) 공중보건의 향상을 위해 여러 부문이 서로 소통‧협력하는 프로그램, 정책, 법률, 연구 등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접근법으로 인수공통감염병, 항생제내성관리, 식품안전에 집중
식량농업기구(FAO) 동물과 인간의 생태계에서 유해한 질병 위험을 줄이고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협력적, 국제적, 다부문별, 다학제적 메커니즘
미국 CDC 사람, 동물 및 환경에서 최상의 건강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적, 국가적, 전세계적으로 활동하는 여러 분야의 공동 노력을 장려하는 것
One Health Commission 사람, 가축, 야생동물, 식물 및 환경을 위한 최적의 건강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적, 국가적, 전세계적으로 활동하는 관련 분야 및 기관과 함께 다양한 보건과학 전문가들의 공동노력
One Health Global Network 인간, 동물 및 다양한 환경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위험 및 위기의 영향 완화를 통해 건강과 안녕을 개선하는 것
One Health Initiative 인간, 동물 및 환경에 대한 모든 건강관리 분야에서 학제간 협력 및 소통을 확대하기 위한 전 세계적 전략
출처
국민건강 확보를 위한 한국형 One Health 추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8년 11월 27일).
세계보건기구(WHO)새창열기
식량농업기구(FAO)새창열기
One Health Commission새창열기
One Health Global Network 새창열기
One Health Initiative새창열기

One Health 접근의 중요성

앞으로 다가올 감염병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의 건강을 하나로 묶는 One Health라는 새로운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 이런 신종 질병은 어디로부터 오는 것이며, 그 발생률은 왜 증가하는 것일까? 이와 같은 위협에 맞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의 건강을 통합시키는 One Health에서 찾을 수 있다.

One Health는 인간의 건강, 동물의 건강, 환경의 건강 사이의 상호 의존성에 바탕을 둔 개념이다. 감염병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의학, 수의학, 환경과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동해야 한다. One Health는 신종 감염병의 위협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 지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 준다.